Post

공무원연금공단 코딩테스트 후기

Intro

공무원연금공단 전산직 실기시험으로 코딩테스트를 봤습니다. 공공기관에서 NCS가 아닌 코딩테스트라니, 신박한 느낌이 듭니다.

코딩테스트를 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 같은데, 다음에도 또 할지는 모르겠지만 관심있으신 분들을 위해 간단한 후기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서류 전형

코딩테스트는 실기 전형으로, 먼저 서류 전형을 통과해야 합니다. TOEIC 요건은 없고, 기술 관련 자격증만 있으면 됩니다.

01.공무원연금공단 자격증 요건

저는 정보처리기사정보보안기사가 있어서 일단 지원은 했었는데, 100점 만점에 40점 밖에 안되니까 사실 떨어질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기술사 정도 되는 분들이 신입으로 지원하실 일은 없겠죠.

자기소개서

자기소개서 문항은 1문항으로 다른 기관에 비해 굉장히 간소합니다.

공단이 지향하는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며, 그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본인은 어떠한 준비가 되어있는지, 본인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하였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기술해 주십시오. [1000자 이내]

공무원연금공단의 자격 요건이나 자기소개서 문항이 다른 공공기관에 비해 굉장히 간소해서 부담이 없어 좋았습니다. 물론 면접이 더 빡세지겠죠…?

서류 결과 발표

서류 발표 시간이 되면, 직접 확인하라고 문자가 옵니다.

02.합격자 발표 알람 SMS

합격한 경우 아래 메시지와 함께 코딩테스트 안내 사항이 적혀있습니다.

03.합격 메시지

그리고 코딩테스트 수행을 위해 프로그래머스 링크가 메일로 전달됩니다.

04.코딩테스트 응시 이메일

실기 시험(코딩테스트)

코딩테스트는 2시간 동안 치뤄지며,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 코딩 2문제와 SQL 구현 3문제로 총 5문제가 출제됩니다.

05.실기 시험 안내

프로그램 코딩

난이도가 하(下)중(中)으로 적혀있길래 테스트 보기 전에는 백준 Bronze 1 ~ Silver 3 정도 나오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아무 근거가 없다보니 그냥 제 바람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 문제는 예상했던대로 난이도가 높지는 않은 구현 문제이기는 했습니다. 프로래머스 기준으로는 Lv 1, 2 정도의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싫어하는 카카오 인턴십 문제 스타일로 설명이 굉장히 긴 문제였습니다.

문제 유출은 안된다고 하니 문제의 메인 주제 정도만 말씀드리겠습니다.

난이도 下

아래와 같은 피아노 건반의 음계 중 일부가 주어지고, 주어진 음을 올리거나 내린 결과 값을 출력하는 문제였습니다.

06.피아노 음계 차트

출처: https://www.liveabout.com/pitch-notation-and-octave-naming-2701389

난이도 中

내쉬 균형을 이용한 문제입니다. 아래와 같은 내쉬 균형 차트에서 TOM과 SAM 각자의 이득을 극대화 하는 전략이 동일한 전략일 때의 갯수를 세는 문제입니다.

07.내쉬 균형 차트

출처: Investopedia

SQL 구현

SQL이 문제 수도 많고, 난이도 상(上) 문제까지 출제된다고 하니 걱정이 많이 됐었습니다.

그런데 예상보다는 쉬워서 3문제 다 푸는데 30분 좀 안되게 걸렸습니다. 물론 답이 맞았는지는 결과가 나와봐야 알겠죠.

08.하지만 빨랐죠

출처: 나무위키

난이도 중(中) 까지는 테이블이 1개라는 사실이, 그리 어렵지 않은 문제라는 것을 대변하지 않나 싶습니다. 프로그래머스 SQL 고득점 Kit에 있는 문제 기준으로 Lv1, 높게 쳐주면 Lv2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하(下) 문제는 기본적인 SELECT 문으로 풀었고, 중(中) 문제는 GROUP BY로 풀었습니다. 그리고 상(上) 문제는 테이블이 2개라 JOIN을 이용해서 풀었습니다.

Outro

문제가 예상보다는 쉬웠기 때문에, 실수 안하신 분들이 합격하실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통과한다고 해도 공공기관용 면접을 준비해본 적이 없어서 면접까지 통과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입니다. 면접도 바로 다음주…! 그래도 기분 상 통과했으면 좋겠습니다.

공공기관임에도 신박하게 온라인 코딩테스트를 봤던 공무원연금공단 전산직에 관심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