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할 상환 분석(Amortized Analysis)
Intro
Java의 ArrayList는 데이터 추가 시 공간이 부족한 경우 크기를 기존 배열 크기의 절반만큼 증가시킵니다(증가 시 배열 최대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제외).
Java 6까지는 ArrayList에서
int newCapacity = (oldCapacity * 3)/2 + 1;
과 같은 수식을 사용했는데, 3을 곱할 때 Overflow가 발생할 수도 있고, bit 연산에 비해 연산도 많습니다.
데이터를 추가하는 add 메서드 중 하나를 보면, 배열이 가득 찬 경우 grow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private void add(E e, Object[] elementData, int s) {
if (s == elementData.length)
elementData = grow();
elementData[s] = e;
size = s + 1;
}
private Object[] grow(int minCapacity) {
int oldCapacity = elementData.length;
if (oldCapacity > 0 || elementData != DEFAULTCAPACITY_EMPTY_ELEMENTDATA) {
int newCapacity = ArraysSupport.newLength(oldCapacity,
minCapacity - oldCapacity, /* minimum growth */
oldCapacity >> 1 /* preferred growth */);
return elementData = Arrays.copyOf(elementData, newCapacity);
} else {
return elementData = new Object[Math.max(DEFAULT_CAPACITY, minCapacity)];
}
}
private Object[] grow() {
return grow(size + 1);
}
데이터 추가 시 공간이 부족한 경우 Arrays.copyOf
를 통해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기존 배열을 복사해야 하므로, 흔히 사용하는 최악의 경우를 생각해보면 데이터 추가 시 O(n)
의 시간복잡도를 갖습니다.
배열의 최대 크기인 2의 32제곱(=4,294,967,296)개 만큼의 데이터를 하나씩 추가한다고 할 때, ArrayList는 기본값인 경우 배열의 크기를 10부터 시작해서 약 48번
배열의 크기를 기존 크기의 절반만큼 늘리고 데이터를 복사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작업은 빈공간이 있는 배열에 데이터 추가하는 작업이므로 O(1)
입니다. 최악의 경우만 생각해서 데이터 추가에 대한 시간복잡도를 O(n)
으로 취급하고 데이터 추가 작업은 느리다고 판단하기에는 애매해 보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모든 경우를 고려해서 평균 실행 시간
을 고려한 분할 상환 분석(Amortized Analysis)
을 수행합니다.
분할 상환 분석
Wikipedia 를 참고해보면, 작업 실행 시간의 평균을 분석함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amortized analysis averages the running times of operations in a sequence over that sequence.
분할 상환 분석은 해당 시퀀스에 대한 시퀀스의 작업 실행 시간을 평균화합니다.
한 블로그(링크)의 실생활 예제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내용이 길어서 간단하게 추렸습니다.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링크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회사에 커피 메이커가 있을 때, 커피가 이미 내려져있는 경우 커피를 컵에 받기 위한 시간은
10초
, 그렇지 않은 경우 커피를 내리기 위해10분
이 걸립니다. 그리고 한 번 커피를 내리면10명
이 마실 수 있습니다.
커피 메이커가 비어 있는 상황에서10명
이 커피를 마신다면, 첫 번째 인원이10분
, 나머지 인원은10초 x 9명 = 90초
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총11분 30초
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11분 30초
를 10으로 나누면 평균적으로1.15분
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평소에 간단하게 사용하는 평균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법을 합계 분석(Aggregate Analysis)
라 하며, 분할 상환 분석이 등장하고서 분할 상환 분석의 한 방법으로 포함되었습니다.
분할 상환 분석 방법
Wikipedia에 따르면, 일반적인 분할 상환 분석 방법으로는 앞서 언급한 합계 분석
, 합계 분석의 한 형태인 회계법(Accounting method)
, 그리고 회계법의 한 형태인 포텐셜법(Potential method)
이 있습니다.
합계 분석 시 상한(Upper Bound)을 T(n) 이라 할 때, amortized cost 는 T(n) / n 이 됩니다. 그런데 이 T(n) 을 현실적으로 쉽게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회계법, 포텐셜법 등을 사용하여 구합니다.
각각의 자세한 분석 방법은 각각 별도의 글을 써도 될만큼 긴 관계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Outro
상환 시간 분석을 통해 ArrayList 데이터 추가 작업에 대한 시간복잡도가 최악의 경우 O(n)
이니까 느려서 쓸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ArrayList를 상환 시간 분석 해보니 평균적인 경우 O(1)
니까 성능이 중요한 곳에서는 ArrayList 를 써야겠다고 판단하는 것도 잘못된 판단입니다.
예를 들어, HFT(High Frequency Trading)과 같이 속도가 중요한 트레이딩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Java의 ArrayList를 사용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다음에 들어올 거래 데이터를 보고 매수/매도를 판단하려는데, 하필이면 그 타이밍에 배열의 빈 공간이 없는 상태라면 배열을 복사하느라 갑자기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려저서 매수/매도 시점을 놓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을 증명하거나, 다른 사람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분석 방법이 중요하겠지만, 실제로 구현할 때는 상황과 가능한 입력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